함수
하나의 긴 태그 안에 수정해야 할 사항이 있을 때
함수를 이용하면 훨씬 쉽게 수정할 수 있다.
function 함수 이름() {
이렇게 적어주면 함수가 설정이 되고
onclick부분에 함수이름을 적으면 완성.
반복해야 할 경우를 생각해보자.
document.write('강아지' );
document.write('기러기');
document.write('까치');
document.write('고양이');
여기서 기러기와 까치를 반복하고 싶다.
전 시간에 배웠던 반복문을 사용하면 된다.
하지만 기러기와 까치가 중구난방으로 있는 경우에는
반복문 처리를 하면 굉장히 지저분해질 텐데
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?
바로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.
function bird(){
document.write('기러기');
document.write('까치');
}
이제 기러기와 까치는 bird라는 함수에 묶이게 된다.
반복하고 싶은 부분을 bird로 바꿔준다.
document.write('강아지' );
bird();
document.write('고양이');
bird();
사이사이에 넣어봤더니
잘 반복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.
매개변수와 인자
함수는 입력과 출력으로 이루어져있다.
이때 입력에 해당하는 것을 매개변수와 인자라고 한다.
document.write(1+1)
이 식을 입력하면 값은 2가 나온다.
js는 동적이기에 계산되어서 출력되는 것이다.
이때 입력값을 다르게 했을 때
그에 맞게 결괏값을 출력하게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?
sum으로 생각해보자.
값을 합산하는 식이다.
sum(2,3)이면 5
sum(3,4)이면 7로 출력하고 싶다.
function sum(left, right) {
document.write(left + right);
}
sum의 괄호 안에 들어오는 숫자들을
left와 right라는 변수에 넣어준다.
이때 변수를 매개변수라 한다.
sum(2,3);
sum(3,4);
계산을 원하는 숫자를 넣기만 하면 된다.
이때 넣은 숫자들을 인자라고 한다.
정상적으로 계산이 됨을 볼 수 있다.
리턴
아까의 함수에 다른 설정을 한다고 생각해보자.
만약 함수의 출력 값이 빨간색임을 원한다고 하자.
그러면 빨간색으로 원하는 값마다
다 함수 이름을 바꾸고 손을 보아야 한다.
이때 return을 이용해
함수를 약간 바꾸고 계산한 값의 표현식으로 만들면 된다.
sum(2,3)의 값만 빨간색으로 출력되었으면 한다.
그러면 sum(2,3)을 여러 버전이 아닌 한 값으로 만들면 되는 것이다.
1+1을 2로 출력하듯 말이다.
document.write('<div style="color:red">'+sum(2,3)+'</div>');
function sum(left, right) {
return left + right;
}
document.write을 통해 특정한 임무를 수행하지 않기에
이를 return으로 적어 값을 돌려받고
원하는 속성을 출력할 수 있다.
'부스트코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이버 부스트코스 JS Javascript 객체 (0) | 2021.03.28 |
---|---|
네이버 부스트코스 JS Javascript 제어문 (0) | 2021.03.27 |
네이버 부스트코스 JS 웹과 Javascript (0) | 2021.03.27 |
네이버 부스트코스 CSS 미디어쿼리 (0) | 2021.03.23 |
네이버 부스트코스 CSS 레이아웃 (0) | 2021.03.22 |
댓글